부안군청 민원실 전화번호 조회
부안군청 민원실 전화번호 조회하기 ▶
부안군의 역사는 삼한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 시기 부안 지역은 마한의 54개 소국 중 하나인 지반국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4세기경 백제가 남쪽으로 세력을 확장하면서, 부안 지역을 포함한 여러 마한의 소국들은 결국 백제에 병합되어 그 지배하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백제 시대에 이르러 부안 지역은 정치적, 군사적, 그리고 해양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로 자리매김하게 됩니다. 이 지역에는 오늘날까지도 죽막동 해양제사 유적지와 같은 귀중한 문화유산이 남아 있으며, 특히 주류성은 백제가 멸망한 이후 부흥운동의 중심지로 활용되며 한때 백제 부흥군의 수도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당시 부안 지역이 개화와 흔량매라는 두 고을로 나뉘어 있었으며, 이들은 중방고사성이라는 행정 단위에 속해 있었습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인 757년, 경덕왕의 통치 아래서 전국적인 행정 개편이 단행되었으며, 이로 인해 부안 지역에도 명칭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개화현은 부령현 또는 계발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으며, 흔량매현은 희안현이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들 부령현과 희안현은 당시 고부에 속한 속현으로 편입되었습니다.
고려 시대에 들어서면서도 행정 체계는 다시 한 번 정비되었습니다. 희안현은 보안현으로 개칭되었고, 부령현은 그 명칭을 그대로 유지하였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별칭으로 희안현을 낭주, 부안현을 부풍이라고 부르기도 하였습니다. 고려 예종 시기에는 부령에 지방관인 감무가 처음으로 파견되었으며, 고려 말 우왕 시기에는 부령현과 보안현에 각각 감무를 따로 두어 행정을 분리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러한 행정 체계는 조선 초기까지 이어지게 됩니다.
조선 시대에는 지방 행정 체계가 큰 폭으로 개편되었습니다. 태종 14년부터 16년 사이에는 부령현과 보안현을 통합하거나 분리하는 여러 시도가 있었고, 결국 1416년에 부령의 ‘부’ 자와 보안의 ‘안’ 자를 조합하여 부안현이라는 새로운 지명을 공식화하게 되었습니다. 이듬해에는 흥덕진을 폐지하고 그 관할 지역을 부안에 귀속시켜 부안진으로 개편하였으며, 이곳에는 병마사를 파견하고 판사 직책을 겸하게 하였습니다. 이후 1423년에는 첨절제사라는 직책으로 전환되었다가 결국 현감으로 변경되어 조선 시대의 지방행정 체계 속에 안정적으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근대에 이르러 1895년 고종 32년에는 전국적으로 모든 부, 목, 군, 현의 명칭을 군으로 통일함에 따라 ‘부안군’이라는 명칭이 정식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행정 구역이 다시 개편되었습니다. 1914년에는 위도를 전라남도 영광군에, 비안도를 군산시에 각각 이관하였으며, 대신 고부군에서 백산면, 거마면, 덕림면 등 세 개의 면을 부안군에 편입하였습니다. 이후 1943년에는 부령면이 부안읍으로 승격되며 부안은 1읍 9면의 행정구역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현대에 들어와서도 부안의 행정구역은 몇 차례 변화가 있었습니다. 1963년에는 전라남도 영광군에 속해 있던 위도면이 부안군으로 편입되었으며, 1978년에는 계화도 간척공사가 완료됨에 따라 3,968헥타르의 새로운 면적이 부안군에 추가되었습니다. 이어서 1983년에는 산내면에서 진서면이 분리되었고, 계화면과 함께 새롭게 설치되어 부안군은 1읍 12면 체제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현재 부안군은 동경 126도 40분, 북위 35도 40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라북도 서부 지역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지리적으로는 군산시와는 바다로 접해 있으며, 북동쪽으로는 김제시, 남동쪽으로는 정읍시, 남쪽으로는 고창군과 각각 인접해 있습니다. 과거에는 동진강 하구에서 줄포면 우포리에 이르기까지 약 99km에 달하는 해안선을 가지고 있었으나, 새만금 방조제가 완공되면서 현재는 약 66km의 해안선만이 바다와 접해 있습니다.
지형적으로는 동쪽이 낮고 서쪽이 높은 구조를 이루며, 황해로 돌출된 반도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남서부 지역에는 변산이 겹겹이 둘러져 있어 산악지대를 이루고 있으며, 반면 북동부 지역은 넓고 비옥한 평야지대가 펼쳐져 있어 농업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형적 특성은 지역의 기후에도 영향을 주어,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겨울철에는 눈이 많이 내리는 기후적 특징을 보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