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구청 민원실 전화번호 조회
관악구청 민원실 전화번호 조회하기 ▶
관악이라는 명칭이 서울특별시의 행정기구 명칭으로 처음 등장한 것은 1962년 11월 21일 제정된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 행정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고, 1963년 1월 1일부터 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이 대폭 확장되면서부터입니다. 당시 서울시는 급속한 인구 증가와 도시 팽창에 따른 행정 수요에 대응하고자 경기도 시흥군 동면에 속해 있던 시흥리, 독산리, 가리봉리, 신림리, 봉천리 등의 지역을 서울 영등포구에 편입하였고, 이에 따라 새롭게 편입된 지역의 행정사무를 전담할 출장소가 설치되었는데, 이 출장소에 부여된 명칭이 바로 ‘관악출장소’였습니다. 이는 ‘관악’이라는 이름이 서울시의 행정체계 속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된 최초의 사례입니다.
이후 ‘관악’이라는 명칭이 정식으로 우리나라의 지방행정구역 단위 명칭으로 등장하게 된 것은 1973년 3월 12일 공포된 대통령령 제6548호에 의거하여 같은 해 7월 1일, 영등포구에서 지금의 관악구를 비롯해 동작구 및 서초구의 일부 지역을 분리하여 별도의 행정구역으로 신설하면서입니다. 이 신설된 행정구역이 ‘서울특별시 관악구’로 명명되며, 관악이라는 지명이 행정구의 공식 명칭으로 채택되었습니다.
관악구의 역사적 지명을 살펴보면, 가장 오래된 문헌 기록으로는 『삼국사기』를 들 수 있습니다. 이 기록에 따르면 현재의 봉천동과 신림동 일대는 고구려 시대에 ‘잉벌노(仍伐奴)’로 불렸으며, 이후 신라의 통일기 경덕왕(재위 745~762년) 시기에는 ‘곡양현(穀壤縣)’으로 개칭되었고, 고려시대에 이르러서는 ‘금주(衿州)’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됩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관악구 지역이 오랜 세월 동안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독립적인 생활권을 형성해왔음을 보여줍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약 500여 년 동안 현재 관악구 지역이 대부분 경기도 시흥군 동면에 속해 있었고, 일부는 과천군 하북면에 속한 지역이었습니다. 그러나 1960년대 들어 서울의 급격한 인구 팽창과 도시화에 따른 행정의 비효율 문제가 대두되면서, 도시 행정구역 개편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1962년 법률 제1172호가 제정되어 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 확장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관악지역은 영등포구로 편입되어 관악출장소를 통해 행정을 관할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1968년 1월 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491호에 의해 관악출장소가 폐지되면서 관할 행정은 다시 영등포구 직할로 편입되었습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급증하는 인구로 인해 구 간의 행정 불균형이 심각해졌고, 이에 대한 대책으로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제6548호에 의해 영등포구로부터 관악구가 분리·신설되어 현재의 관악구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이 신설 당시 관악구에 포함된 지역은 현재 동작구에 해당하는 노량진동, 본동, 상도동 등 9개 동, 그리고 현재 서초구 지역인 방배동, 서초동, 반포동, 잠원동, 양재동 등 5개 동, 마지막으로 현재 관악구 본연의 지역인 봉천동과 신림동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후에도 행정구역 개편은 계속되었으며, 1975년 10월 1일 영등포구와 관악구 간 구역조정이 이루어졌고, 1980년 4월 1일에는 대통령령 제9630호에 따라 관악구의 노량진동, 상도동 일대를 분리하여 동작구를 신설하였으며, 방배동과 사당동 일부를 강남구로 편입시키고, 사당동의 일부는 관악구에 남겨 ‘남현동’으로 새롭게 명명하였습니다.
그 후에도 관악구의 행정구역은 소폭 조정되었으며, 1988년 1월 1일에는 구로구 독산동 일부가 관악구 미성동(구 신림11동)에 편입되기도 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관악구는 서울특별시조례 제1362호에 의거하여 남현동, 봉천동, 신림동의 3개 법정동과 이들을 기반으로 하는 27개의 행정동을 관할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2000년대 들어 행정 환경 변화와 주민 수요에 맞춰 생활권, 역사성, 인구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동 통폐합이 추진되었습니다. 특히 인구수가 4만 명을 넘지 않는 일부 행정동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6개 동이 감축되고, 행정동 명칭 또한 주민의 정체성과 생활 편의를 반영하여 개편되었습니다. 그 결과 2008년 9월 1일, 서울특별시관악구조례 제779호에 따라 총 21개 행정동 체제로 재정비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