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평구청 민원실 전화번호 조회
은평구청 민원실 전화번호 조회하기 ▶
석기시대부터 은평구 일대는 혈연을 중심으로 한 씨족 공동체가 모여 취락을 형성하며 살아왔습니다. 서울의 일부인 이 지역은 백제 시대에는 위례성의 영역이었고, 신라 시기에는 신주, 통일신라 시대에는 한산주로 불리다가, 경덕왕 7년(757년)에 한주로 개칭되었습니다. 당시 서울 지역에 설치된 한양군은 ‘한양’이라는 명칭의 기원이 되었습니다.
고려시대에 들어서면서 한양군은 양주로 이름이 바뀌었고, 문종 21년(1087년)에는 남경으로 승격되어 서경(평양), 동경(경주)과 함께 3소경 중 하나로 지정되어 전략적인 중요성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이후 충렬왕 34년(1308년)에는 ‘한양부’로 다시 개칭되었습니다.
조선 태조 3년(1394년)에는 도읍이 한양부로 정해지면서 ‘한성부’로 이름이 바뀌었고, 행정구역은 5부 52방으로 나뉘었습니다. 현재의 은평구는 당시 북부 지역의 성곽 밖에 해당하는 연은방과 상평방에 속해 있었으며, ‘은평’이라는 지명은 이 두 방의 이름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1911년 4월 1일자 경기도령 제3호에 따라 경성부가 5부 35방 8면제로 재편되었고, 1913년 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경기도 고양군 관할로 은평면(36개 동·리)이 설치되었습니다. 이때 경성부의 행정 구역이 축소되어 은평 지역은 서울 밖으로 분리되었습니다.
이후 1936년 조선총독부령 제8호에 따라 경성부의 구역이 확장되면서 은평면 일부(홍제외리, 홍제내리, 부암리, 홍지리, 신영리 등)가 포함되고, 1940년 서부출장소가 설치되어 행정업무를 관장하게 되었습니다. 1943년 6월에는 출장소가 폐지되고 구(區)제가 시행되면서 서부출장소 관할은 서대문구로 전환되었습니다.
광복 이후 1946년 9월에는 경성부가 서울시로 개칭되며 경기도에서 분리되어 서울특별시로 승격되었습니다. 1949년 8월 대통령령 제161호에 따라 고양군 은평면 11개 리와 연희면 7개 리가 서울시 서대문구에 편입되었고, 은평출장소가 설치되면서 오늘날 은평구의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1973년 7월 1일에는 법률 제2569호에 따라 고양군 신도면 소속의 구파발리 및 진관내·외리가 서울로 편입되어 은평구 관할에 포함되었습니다. 이후 1979년 10월 1일 대통령령 제9630호에 따라 서대문구에서 분구되어 은평구가 정식으로 설치되었으며, 당시 행정동은 15개였습니다.
1989년 9월 1일 이후 행정동은 20개, 법정동은 13개로 확대되었고, 2007년 8월 13일에는 구파발동, 진관내동, 진관외동이 ‘진관동’으로 통합되었습니다. 이어 2008년 6월 2일에는 불광1·2·3동, 응암2·3·4동, 역촌1·2동이 각각 통합되어 행정동이 16개, 법정동이 11개로 조정되어 오늘날의 은평구 행정 체계를 갖추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