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중구청 민원실 전화번호 조회
대전 중구청 민원실 전화번호 조회하기 ▶
대전광역시 중구는 대전광역시의 중남부 지역에 위치한 자치구로, 대전시의 중심부와 가까운 지역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중구는 지리적으로 북쪽으로는 대덕구와 접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동구, 남쪽으로는 충청남도 금산군, 그리고 서쪽으로는 서구와 각각 경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위치는 동경 127도 22분에서 127도 27분, 북위 36도 12분 16초에서 36도 20분 사이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전체 면적은 약 62.13㎢에 이르며, 2015년 기준으로 인구는 약 256,186명에 달합니다. 행정구역은 17개의 행정동과 26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청은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동에 위치하고 있어 행정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중구는 동쪽으로는 대전천(大田川)을 사이에 두고 동구와 경계를 이루며, 서쪽으로는 유등천(柳等川)을 사이에 두고 서구와 접하고 있어 천을 중심으로 행정구역의 경계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중구의 전반적인 지형은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은 구조를 보이며, 특히 남부 지역에는 해발 458m에 달하는 보문산(寶文山)이 위치하여 높은 구릉성 산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지질적으로는 화강암류가 분포된 지역이 상대적으로 낮은 평지를 이루는 반면, 변성암류 및 반암류가 분포된 지역은 경사가 급한 험준한 산지 지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용두동 일대는 해발 70~90m 정도의 낮은 구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역은 대전을 동서로 나누는 중요한 경계 구릉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기후는 전형적인 내륙성 기후로, 한서의 차가 다른 지역보다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여름에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고온다습한 날씨가 지속되고, 겨울에는 시베리아에서 유입되는 찬 대륙성 기류의 영향으로 매우 추운 날씨가 이어지며, 건조한 특징을 보입니다. 연간 강수량의 약 70% 이상이 여름철에 집중되며, 겨울에는 강수량이 매우 적은 편입니다. 연평균 기온은 13.9℃이고, 1월 평균기온은 -0.5℃, 8월 평균기온은 25.9℃로, 연교차는 약 27℃에 이릅니다. 연평균 강수량은 대체로 1,500㎜ 내외이며, 강수량의 변동 폭이 큰 것이 특징입니다. 예를 들어 2001년에는 강수량이 829㎜로 적었던 반면, 2003년에는 1,749㎜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대전광역시 중구의 행정구역과 지명은 오랜 역사적 변천 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전국적인 도·부·군·면의 폐합이 단행되었으며, 이로 인해 회덕군, 진잠군, 공주군 현내면이 폐지되고 대전군이 신설되었습니다. 당시 중구 지역은 대전군 산내면 및 유천면의 일부에 속해 있었습니다.
이후 1931년, 총독부령 제103호에 의해 읍면제가 실시되면서 대전은 대전읍으로 승격되었고, 1932년에는 충청남도 도청이 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되면서 대전의 행정 중심성이 강화되었습니다. 1935년에는 총독부령 제112호에 따라 부제(府制)가 실시되어 대전읍이 대전부로 승격되었으며, 동시에 대전군이 폐지되고 춘일정, 이정목, 삼정목, 목정, 중촌정, 대흥정, 대사정, 부사정, 수정 등이 대전부에 편입되었습니다. 대전군의 남은 지역은 대덕군으로 새롭게 편제되었습니다.
1940년에는 총독부령 제221호에 따라 대전부의 구역이 확장되었으며, 대덕군 유천면의 용두리, 태평리, 유천리, 문화리, 산성리와 산내면의 석교리가 대전부에 편입되었습니다. 해방 이후인 1945년에는 법률 제32호에 따라 지방자치제가 실시되었고, 이에 따라 대전부는 대전시로 개칭되었습니다.
1971년에는 대전시 조례 제461호를 통해 동부, 북부, 중부, 서부 등 네 개의 출장소가 설치되었고, 이들은 각각 동부 11개 동, 북부 9개 동, 중부 14개 동, 서부 11개 동을 관할하였습니다. 이후 1977년에는 대통령령 제8667호에 따라 출장소 제도가 폐지되고, 동구와 중구의 두 개 구청이 새로 설치되었으며, 중부출장소와 서부출장소는 통합되어 현재의 중구청이 되었습니다.
1979년에는 대전시 조례 제929호에 따라 도마동이 도마1동과 도마2동으로 분동되었으며, 이로 인해 관할 행정동은 총 26개로 늘어났습니다. 이어 1982년에는 유천동이 유천1·2동으로, 괴정동이 괴정동과 가장동으로 분리되면서 28개 동을 관할하게 되었습니다. 1983년에는 대통령령 제11027호에 따라 대덕군 유성읍 일원과 구즉면의 일부 지역이 대전에 편입되었으며, 이 지역은 유성출장소로 관리되었습니다. 같은 해 대전시 조례 제1303호에 따라 태평동이 태평1동과 태평2동으로 나뉘었습니다.
1984년에는 유성출장소가 시 직할출장소로 승격되었고, 1985년에는 대전시 조례 제1461호에 따라 문화동이 문화1동과 문화2동으로, 산성동이 산성동과 복수동으로, 도마1동이 도마1동과 변동으로 각각 분동되어 총 34개 동을 관할하게 되었습니다. 1987년에는 대통령령 제12007호로 대덕군 진잠면 학하리 일부가 중구 원내동에, 동구 오정동 일부가 중촌동에 편입되었습니다.
1988년에는 중구에서 14개 행정동이 분리되어 서구청이 신설되었으며, 1989년 법률 제4049호에 따라 대전시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대덕군 산내면 일부 지역이 중구로 편입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구완리, 무수리, 침산리, 목달리, 정생리, 어남리, 금동리가 법정동으로 편입되고, 행정동으로는 산서동이 설치되어 현재 중구는 26개의 법정동과 25개의 행정동을 관할하는 자치구가 되었습니다.
1998년에는 대전광역시 중구 조례 제404호 및 제449호에 따라 선화1·2·3동이 선화동으로, 대흥1·2·3동이 대흥동으로, 문창1·2동이 문창동으로 각각 통합되었으며, 은행동과 선화동은 은행선화동으로, 용두1·2동은 용두동으로, 산성동과 산서동은 산성동으로 각각 합쳐졌습니다. 마지막으로 2002년에는 대전광역시 중구 조례 제1581호에 따라 중구청의 청사가 기존 대흥동 125번지에서 대흥동 499의 1번지로 이전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