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대전역 KTX 기차시간표 열차시간표

ozia8 2025. 4. 29. 09:33
대전역 KTX 열차시간표 조회

 

대전역 기차시간표 조회하기 ▶

 

 

대전역은 일본 철도공사 소속 종사자들이 대전역 주변 지역에 집단으로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이는 대전 지역에 본격적인 근대화의 물결이 스며들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대전역이 건설되면서 이 지역에는 근대 문명의 기운이 움트기 시작하였으며, 결국 대전은 우리나라 근현대사를 대표하는 중심 도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1904년, 대전역에서 철도가 처음으로 운행되던 해에 경부철도와 호남철도의 정식 개통이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대전 일대는 도시로서의 활기를 띠기 시작하였습니다.
특히 조선 후기 충청도의 중심지였던 회덕 군청이 1910년에 대전으로 이전되었고, 이어 1932년에는 공주에 있던 충청남도 도청마저 대전으로 옮겨오게 되면서, 대전은 행정과 경제, 교통의 중심지로서 급격한 성장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대전을 근현대 중심 도시로 이끄는 결정적인 원동력이 되었던 것입니다.

 



대전역의 건설과 등장은 지역의 자연 지리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오늘날에는 그 흔적조차 찾아보기 어렵지만, 지역 어르신들께 전해 들을 수 있는 이야기에 따르면 ‘소제호’라 불리는 아름다운 호수가 과거에는 이 지역에 존재하였다고 합니다.
이 소제호는 여의도광장만큼이나 넓었다고 전해지며, 우암사적공원으로 옮겨진 기국정이 원래 자리 잡고 있었던 곳이기도 합니다.
호수에는 연꽃이 가득 피어 장관을 이루었으며, 그 주변에는 조선시대 대학자 송시열의 옛집도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이처럼 소제호는 단순한 자연경관을 넘어 조선인들에게 정신적 중심지로 여겨졌던 의미 깊은 장소였기에, 대전역 건설 과정에서 소제호를 메워 없애버린 일에 대해 많은 지역 어르신들께서는 안타까움과 분노의 감정을 품고 계십니다.

 


이처럼 대전역의 다소 급박하고 강제적인 개통 이면에는 러일전쟁이라는 국제적 갈등과 함께, 조선을 식민지배하기 위해 일제가 의도적으로 추진한 수탈 계획이 깔려 있었습니다.
대전역은 당시 일본식 건축 양식을 충실히 따르며 건립되었는데, 목조 단층 구조로 지어졌으며 서양 고전 양식과 일본 전통 목조 양식이 절묘하게 결합된 독특한 건축 양식을 보여주었습니다.

1915년에 건축된 대구역사와, 그로부터 몇 년 뒤인 1918년에 건축된 대전역사는 시기적으로도 가깝고 건축 양식 면에서도 상당히 유사한 모습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대전역 역시 일본식 목조건축의 전형적인 예로 평가되지만, 안타깝게도 6·25전쟁 중 소실되고 말았습니다.
따라서 현재 우리는 그 원래 모습을 직접 볼 수는 없으며, 과거에 촬영된 사진 자료를 통해서만 그 당시 대전역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